DNS Cf. L1 ~ L4 : Infrastructure 역할 수행 애플리케이션 수준에 존재하는 서비스 중에서도 Infrastructure에 해당하는 것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DNS(Domain Name Service) 체계이다. 분산 구조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NS 네임서버)의 분산 구성 데이터의 영역별 구분(Domain Zone) 및 분산관리 도메인의 네임서버 및 도메인 데이터는 해당 관리주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트리(tree) 구조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체계 Domain : 영역, 영토를 의미 도메인 네임의 자율적 생성 생성된 도메인 네임은 언제나 유일(Unique)하도록 네임 체계 구성 Domain 구조 www.naver.com 위의 URL주소에서 ..
개념
TCP와 UDP '연결' 이라는 개념 TCP에만 연결(Connection, Session, Circuit) 개념이 존재한다. 연결은 결과적으로 순서번호(Sequence Number)로 구현된다. 이는 1, 2, 3, … 과 같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차지하는 바이트(byte) 수만큼 증가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세그먼트(Segment)의 크기가 400byte라면 두번째 세그먼트는 401의 Sequence Number를 가지게 된다. 연결은 상태(전이) 개념을 동반한다. TCP 연결 과정(3-way handshaking) 연결 과정 중에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나뉜 일반적인 형태의 세그먼트가 아닌 IP 주소, TCP 주소가 존재하는 헤더만 존재하는 형태의 세그먼트가 오간다. 연..
TTL과 단편화 TTL(Time To Live) 세포의 텔로미어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라우터에서 다른 어떤 라우터를 지날 때 이 단위를 **홉(Hop)**이라고 하는데, 하나의 홉을 지날 때마다 TTL값이 1씩 낮아지다가 TTL값이 0에 이르도록 경로를 찾지 못하면 폐기된다. 단편화(Fragmentation) 단편화는 MTU 크기 차이로 발생한다. 수신하는 측의 MTU가 송신측보다 작을 때 (안그래도 작은) 패킷을 다시금 잘라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패킷은 기존 패킷의 IP Header가 복제되고, 페이로드는 이등분되어 각 페이로드가 헤더가 붙는 형태로 쪼개지게 된다. 단편화는 다음 라우터의 MTU가 자신의 MTU 보다 작아 패킷이 쪼개져야할 때 수행된다. 쪼개져서 전달된 패킷은 통상적으로 수..
Broadcast IP 주소 일반적으로 L2(Data-Link Layer)에서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함에 있어서 `FF-FF-FF-FF-FF-FF`은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주소이다. L3(Network Layer)에서는 IP 주소의 호스트 부의 비트(bit)를 모두 1로 채우면 해당 네트워크에 방송(브로드캐스팅)하겠다는 것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192.168.0.255/24 (IP 주소가 192.168.0.255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경우)의 경우 호스트 부인 마지막 8bit가 모두 1인 것을 볼 수 있다. (255 -> `1111 1111`) 특수 목적의 IP 더불어서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는 IP들은 아래와 같다. 호스트 부가 0인 경우 : 이는 곧 호스트..
IP 주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계층 식별자인 IP 주소는 컴퓨터나 라우터에 고유한 주소로 할당되어 네트워크 통신시 상대를 특정 호스트로 지정할 수 있다. 전세계의 모든 호스트의 IP 주소는 유일해야 하기 때문에 IP 주소는 유한한 리소스이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IPv4를 사용하고 있다. 추후에 더 많은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 되는 IPv6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아직은 일반적으로 IP 주소라고 하면 IPv4를 의미한다. IPv4를 기준으로 IP주소는 32bit로 구성된다. 때문에 0과 1를 이용해 아주 길게 표현할 수 있는데, 이는 너무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1byte가 되는 8bit씩 4개의 옥텟으로 나누어 각 그룹을 십진수로 표현하고, 각 그룹을 `.`으로 구분하는 형식으로 표기한다. 서브..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크게는 하드웨어단과 소프트웨어단으로 나누고 소프트웨어단은 다시 Kernel mode와 User mode로 나뉜다.하드웨어를 설명하는 단어는 Physical 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물리적으로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소프트웨어를 설명하는 단어는 Logical 즉, 논리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논리적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는 Logical 대신 사용되기도 하는 단어로 Virtual 이 있다. 물리적으로 구현된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까? 답은 가능하다. 흔히 CPU(하드웨어에 속함)은 Machine 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CPU를 논리적으로 구현한 것을 Virtual Machine , VM 이라고 표현한다. 이렇게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두..
인터럽트(Interrupt)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처리한 후 다시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럽트의 종류 인터럽트는 크게 외부 인터럽트, 내부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로 나뉜다. (중요도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가 가장 낮다.) 외부 인터럽트 🔥 원인이 외부에서 기인한 인터럽트를 의미한다. 전원 이상 인터럽트(Power fail interrupt) : 정전, 파워 이상, 절전 모드(?) 등 기계 착오 인터럽트(Machine check interrupt) : CPU의 기능적인 오류 외부 신호 인터럽트(External interrupt) 타이머에 의한 인터럽트 : preemptive(선점형) 개념을 생..
해당 글은 노마드 코더의 '세션 vs 토큰 vs 쿠키? 기초개념 잡아드림. 10분 순삭!' 영상의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Cookie 브라우저에 저장됨. 즉, 웹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앱에서는 사용 불가 -> 이런 경우 앱에서는 쿠키 대신 토큰(token) 사용 서버의 response로부터 브라우저에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쿠키로 저장 저장 후에는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시마다 브라우저는 해당 쿠키도 request와 함께 전송하게 됨 쿠키는 도메인에 따라 제한됨. 즉, 특정 웹사이트에서 받은 쿠키는 해당 웹사이트에만 전송됨 쿠키는 유효 기간이 존재. ex) 하루, 일주일, 한달 등 인증 뿐만 아니라 여러 정보를 저장 가능. ex) 언어설정 등의 사용자 설정 Token 서버에 토큰을 보냄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