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L과 단편화 TTL(Time To Live) 세포의 텔로미어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라우터에서 다른 어떤 라우터를 지날 때 이 단위를 **홉(Hop)**이라고 하는데, 하나의 홉을 지날 때마다 TTL값이 1씩 낮아지다가 TTL값이 0에 이르도록 경로를 찾지 못하면 폐기된다. 단편화(Fragmentation) 단편화는 MTU 크기 차이로 발생한다. 수신하는 측의 MTU가 송신측보다 작을 때 (안그래도 작은) 패킷을 다시금 잘라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패킷은 기존 패킷의 IP Header가 복제되고, 페이로드는 이등분되어 각 페이로드가 헤더가 붙는 형태로 쪼개지게 된다. 단편화는 다음 라우터의 MTU가 자신의 MTU 보다 작아 패킷이 쪼개져야할 때 수행된다. 쪼개져서 전달된 패킷은 통상적으로 수..